장 오노레 프라고나르(1732~1806)는 프랑수아 부셰와 더불어 로코코 시대를 잘 표현했다. 그는 쾌락을 추구한 귀족들의 취향에 맞추기 위해 풍경화에 가정적인 분위기의 장면들을 그려 넣으면서 명성을 얻었다.
프라고나르의 대표작 ‘그네’는 쾌락적인 사랑을 표현했다. 그네는 전통적으로 불륜을 상징한다. 그네를 타고 있는 여인과 그네를 밀고 있는 늙은 남자, 그리고 젊은 남자의 삼각관계를 나타내는 이 작품은 속임수를 써야 하는 젊은 연인들의 행동을 세밀하게 묘사했다.
이 작품을 처음 구상한 사람은 줄리앙 남작이었다. 남작은 가톨릭 주교가 남작의 애첩이 타고 있는 그네를 밀고, 자신은 그네 밑에서 애첩을 바라보는 장면을 의뢰했다. 하지만 처음 줄리앙 남작에게 의뢰받았던 화가 가브리엘 프랑수아 도엥은 가톨릭의 반발을 우려해 작품을 거절하고, 그 당시 왕립 아카데미에 막 회원이 된 젊은 화가 프라고나르를 추천했다.
프라고나르는 작품을 제작하면서 남작이 놀림감으로 묘사하기를 원했던 주교의 역할을 배제시킨다. 그는 그네를 밀고 있는 늙은 남자나 정원에서 여인을 바라보고 있는 남자들의 사회적 신분을 불분명하게 표현하면서 내용도 젊은 연인들이 나이든 남편을 속이는 것으로 바꿨다.
늙은 남자가 미는 그네를 타고 있는 여인은 정원 숲 속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남자와 은밀한 시선을 나눈다. 젊은 남자의 시선을 의식해 두 다리가 훤히 보일 정도로 그네를 타고 있는 여인은 슬리퍼 한 짝을 벗어 남자에게 던진다.
이 작품에서 신발은 여인의 잃어버린 순결을 의미하고 젊은 남자의 왼쪽 팔은 남성의 성기를 상징한다. 또 여인이 입고 있는 장밋빛 드레스와 젊은 남자가 꽂고 있는 장미는 그들이 불륜에 빠진 연인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화면 왼쪽의 큐피드 조각상은 손가락으로 입을 가리고 있다. 큐피드의 몸짓은 불륜에 빠진 젊은 연인들의 비밀을 지켜주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화면 오른쪽 그네를 밀고 있는 늙은 남자 옆의 푸티 조각상 중의 하나는 젊은 연인들을 바라보고 다른 푸티는 늙은 남자 앞에 있는 개를 바라본다. 전통적으로 푸티는 사랑의 중계자로 표현되며 개는 정절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이 작품에서 개는 두 사람의 불륜을 알리려고 짖고 있지만, 늙은 남자는 눈치 채지 못하고 있다.
프라고나르는 이 작품에서 연인들의 달아 오른 감정을 울창한 정원으로 표현했다. 사물의 의미를 강조한 그는 귀족들의 정숙함과 품위·인격을 상징하는 신발을 벗김으로써 귀족들의 품위를 풍자했다. 이 작품으로 프라고나르는 궁정화가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박희숙 서양화가·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