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베르메르(1633~1675)는 편지를 주제로 많은 작품을 제작했다. 그에게 편지라는 주제는 도덕성을 강조하기에 좋은 소재였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편지는 여자들의 은밀한 욕망을 나타낸다.
당시는 교육 수준이 높아 부르주아 여성들은 읽고 쓸 줄을 알았다. 여성들은 편지로 자신의 감성을 표현했고 그것은 곧 혼외정사로 이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여자가 연애편지를 쓴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상당히 위험한 행동으로 간주됐다.
편지를 부제로 한 베르메르의 대표적인 작품이 ‘연애편지’다. 이 작품은 안주인에게 편지를 건네는 하녀의 모습을 그렸다. 17세기 네덜란드 사회는 결혼의 의무가 엄격해 본능과 성적 욕구를 억제해야 했다. 그런 엄격한 사회적 규제 때문에 혼외정사를 그린 풍속화가 인기였다. 묶여 있는 커튼 사이로 안주인이 벽난로 옆에 앉아 편지를 건네는 하녀를 바라보고 있다.
두 사람은 시선을 주고받으면서 주인과 하녀라는 신분을 뛰어넘어 연애를 공모하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왼쪽 벽에는 지도가 흐릿하게 보이고 안주인의 무릎에 악기 류트가 올려져 있다. 이 작품을 언뜻 보면 평범한 일상을 그린 것 같지만 숨겨진 의미가 곳곳에 있다. 악기 연주는 행복과 화목을 나타내지만 혼외정사를 다룬 그림 속에서 악기는 향락과 음란함과 경박함을 상징한다.
또 이 작품 속에서 류트를 무릎에 놓고 있는 안주인은 현재 음악을 연주하면서 사랑의 몽상에 잠겨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 작품 속에 등장하는 두 점의 그림 중에 하녀의 머리에 걸쳐 있는 구름 낀 하늘 아래 폭풍우 치는 바다를 항해하는 배는 사랑의 위험을 상징하는 17세기의 통속적인 표현법 중 하나다.
커튼에 가려 반쯤 보이는 그림 속의 남자는 길을 걷고 있다. 남자가 걷는 길은 사랑의 여정을 암시한다. 이 작품에서 바닥에 벗어 놓은 실내화는 여성의 음부를 상징하고 비스듬히 문에 기대어 놓은 빗자루는 부정한 연애 사건이라는 것을 상징한다. 바닥에 있는 빨래와 쿠션은 사랑에 빠져 가정생활을 소홀히 하는 안주인을 의미한다.
얀 베르메르의 작품 대부분에는 공통점이 있는데 한 명 아니면 두 명의 사람을 등장시킨다. 화면 속 인물들은 항상 창문 옆에 자리 잡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 작품에는 그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베르메르의 작품이 많지 않은 것은 그가 15명의 자녀를 부양하기 위해 가업을 이어받아 여관업에 종사했기 때문이다. 그림을 그릴 시간이 별로 없어 실내에서 그린 작품이 많다.
<박희숙 서양화가·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