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겁게 살아가는 중년 삶의 이야기

일상상식이야기

60갑자란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하나요?

惟石정순삼 2011. 12. 29. 08:15


 

60갑자란?

 

 60갑자는 10간(干)과 12지(支)를 결합하여 만든 60개의 간지(干支)를 말한다.

 

10간은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이고,

12지는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

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로부터 주기(週期)를 다루는데 이용되었다.

 

 옛 어르신들은 60갑자를 모두 외우는 분들이 많아서 지그시 눈을 감고 손가락을 꼽아 계산하는 일이 많았다고 하지만, 현대에 있어서는 서기로 연도를 계산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많은 사람들이 60갑자로 연도를 알게 되는 것은 새해 첫날 TV에 나올 때 뿐이다.

 


최소한 외워야 할 10간과 12지

 

 60갑자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10간과 12지를 외워야 한다. 다행히도 12지는 동물 띠와 연계되어 있어 우리에게 무척 익숙하다. 쥐, 소, 호랑이, 토끼 등이 “자축인묘...”로 이어지게 되고, 그 외에 10간인 “갑을병정...”은 10개뿐이니 그저 외우는 방법 밖에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10개를 외우면 반만년 우리 역사 속의 60갑자 연도를 모두 계산할 수 있으니 수지맞는 장사가 아닐까.

 


60갑자의 조합법 

 

 천간, 지지를 모두 외웠다면 이어서 조합법을 배워보자. 조합법은 매우 간단하다.

 암기한 십간과 십이지를 하나씩 순서대로 조합하여 위에서 아래로 읽으면 됩된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즉 갑자, 을축, 병인, 정묘....


이런 순서대로 진행된다.

그렇게 하다 보면 2개가 남게 되는데

11번째의 남는 자리에 갑술, 을해, 병자... 이런 식으로 10간을 다시 돌려 채워 넣는다.

 

규칙성1 : 10년 주기로 10간은 돈다.

서기 년도는 10진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10간은 서기년도와 일치한다.

 

만약 1919년이 기미년이라는 사실을 안다면

1909년이나 1009년이 모두 을로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천간마다 숫자의 맨 끝자리가 정해지는 것이다.

년도의 끝자리 수가 4부터 3까지 가는 동안 10간은 갑부터 계까지 돌게 된다.

 

 4  5   6  7  8   9   0   1  2  3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이런 식으로 년도의 끝자리가 십간에 4부터 대응된다.

 

 

규칙성2: 10년 주기로 12지는 두 칸 뒤로


그렇다면 12지는 어떻게 변화할까?


앞으로 10년 진행되는 동안, 12지는 뒤로 2칸 옮겨간다.

왜냐하면 12지가 10간보다 2개 더 많기 때문이다.


갑자년의 10년 뒤는 갑술

을해년의 10년 뒤는 을유

이렇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잠깐 예제를 풀어보자.

 

문제) 1919년이 기미년이라는 것을 알 때, 갑오개혁의 년도는?


 머릿속으로 계산하는 방법도 있지만, 가장 정확한 것은 직접 표를 만들어서 써보는 것이다. 우리는 기미년이 1919년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럼 먼저 기미년을 세로로 적고, 그 위에 19라고 적는다.


19


그 다음에 19, 20, 21로 숫자를 증가시키고, 10간과 12지를 돌린다.


19 20 21 22 23 24 25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정무기경신임계...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묘진사오미신유...


1924년은 갑자년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제 갑오년으로 돌아가려면

자축인묘진사오...

6칸 앞으로 가야 하겠다?


규칙성 2에서 12지는 10년 앞으로 갈 때 뒤로 2칸 움직인다고 했다.

그러므로 앞으로 6칸 움직인다면 30년 뒤로 물러나면 되겠니다.


1924-30=1894


1894년이 갑오년

갑오개혁은 1894년이 된다.

 

규칙성3: 60의 배수를 더해도 60갑자는 같다.

10간과 12지의 최소공배수는 60이다. 다시 말하면, 이 조합은 60개로 이루어져 있으니까 60의 배수를 더해도 같아지는 것이다.


즉 1592년이 임진왜란이란 것을 아는 사람은

1652년도 임진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준년을 기억하라.

 

 역사 시험에서 특정 년도를 기억하는 일이 이제 한결 쉬워졌을 것이다. 그렇다면 현실세계로 돌아와 한 가지 응용법만 더 기억해 보자.

60갑자로 돌아가는 세상에서 첫 단추가 되는 기준년도는 언제일까?


 지금이 2007년이니까, 가장 가까운 기준년도는 1984년의 갑자년이 되겠다. 친한 사람중에 84년 쥐띠가 있다면 훨씬 기억하기 쉽다. 만약 자신의 나이가 86년생이라면 2살 위인 형은 갑자년에 태어난 것이다. 자기가 태어난 해를 기준년으로 잡아도 되지만, 여러모로 갑자년이 편리하다.

 지금 기억해 두자. 84년이 갑자년이다.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정리를 해보자.

 

 1. 10간12지를 외우고,

 2. 10간은 10년 주기로 같고,

 3. 12지는 10년 앞으로 갈 때, 뒤로 2칸

 4. 60년은 아무리 더하고 빼도 같다.

 5. 84년이 갑자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