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겁게 살아가는 중년 삶의 이야기

살아가는이야기

세상에 공짜는 없다

惟石정순삼 2010. 8. 25. 14:00
 
세상에 공짜는 없다(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말)

세상에는 없어서는 안 될 것도 많고, 없애 버리고 싶은 것도 참 많이 있습니다. 너무 많아도 걱정이고, 너무 없어도 걱정인 것도 많습니다.
이렇게 많은 것들이 얽혀져서 문제들을 만들어 갈 때, 문제를 풀어 가야할 방법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많은 지혜를 짜냅니다.
비범한 사람들의 번뜩이는 지혜가 틀에 갇힌 평범한 사람들의 입에서 '아하'하는 탄성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탁자 위에서 동글동글한 달걀을 세우기 위해서 안간힘 쓰고 있는 것을 보고 달걀을 깨어 세우는 콜럼버스의 지혜, 뒤엉킨 삼가닥(난마)처럼 얽힌 밧줄을 풀어 보려고 애쓰는 사람들 앞에서 단칼에 밧줄을 끊어 버림으로써 싱겁게 일을 해결해 버리는 알렉산더 대왕의 대담한 지혜하며, 사람 키보다 더 큰 독에 빠진 어린아이를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시급한 상황에서 독을 깨버림으로써 위험에 빠진 아이를 재빠르게 구하는 사마광의 지혜도 있고, 한 아이를 서로 자기 아이라고 우기는 두 엄마 앞에서 어린 아기를 칼로 정확히 반으로 잘라 주겠다는 말을 함으로써 진짜 엄마를 가려 주는 솔로몬의 지혜는, 어려울 것 같아 보이는 문제를 의외로 쉽게 해결하는 위인들의 지혜라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지혜로움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부딪치는 문제에 대한 해결 열쇠가 됩니다. 그러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말'은 무엇이라고 여러분들은 생각하십니까?
 
옛날 어느 왕이 자신이 공부한 것을 백성들과 함께나누고 싶었다
하지만 백성들은 일하느라 바빠 공부할 시간을 따로 마련하기 쉽지 않았다
이에 왕은 학자들에게 세상의 모든 지식을 총망라하여 12권의책을 만들어라고 명령했다

백성들이 짧은 시간안에 핵심적인 지식을 전달받을수 있기 위한 조치였다
학자들의 연구 끝에 12권의 책이 나왔으나 그 책을 보자  왕은 12권의 책마저도 많게
느껴져 다시 학자들에게 명령했다

12권의 책을 더간단히 줄여 1권의 책으로 만들어라
 왕의 명령에 따라 학자들은 다시 연구해 1권의 책으로 만들었다
책을 본 왕은 기뻤지만 백성들 모두에게 그책을 나눠주는게 부담스러웠다

그래서 다시 책의 지식을 한줄로  줄여 오라고 명령해
결국 학자들은 세상의 지식을 단 한문장으로 줄였다고 한다..

이일화는 중국 고전인 '장자'에 나오는 이야기다
학자들이 마지막으로 세상의 지식을 한줄로  압축한 문장은
[세상에 공짜는  없다],,였다..
(이야기 하나를 들려드리겠습니다. 옛날, 백성을 몹시 사랑하는 황제가 신하들에게 이 세상에 있는 말 중에서 삶의 가장 지혜로운 말들을 모아 오도록 하여 백성들에게 알리고 지혜롭게 살도록 하고 싶었습니다.

신하들은 부지런히 세상에 흩어져 있는 지혜의 말들을 모아 정리했다고 합니다. 정리된 지혜의 말들은 무려 12권의 책이 되었습니다. 신하들은 의기양양하게 황제에게 칭찬을 받을 요랑으로 12권의 책을 올렸습니다. 그러자 황제는 그 책을 쳐다도 보지 않고 몹시 화를 내었습니다. 백성들이 그 많은 책을 어떻게 다 읽으면서 생업에 종사하며 지혜롭게 살 수 있겠는가? 하고는 책을 1권으로 줄여서 다시 제출하라고 하였습니다.

신하들은 오랜 시간을 들여서 겨우 1권의 책으로 줄여서 황제에게 올렸습니다. 그러자 황제는 1권의 분량도 많게 생각되니, 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말을 한 문장으로 줄이라고 호통을 쳤습니다. 왕의 분부에 따라 몇 달 며칠을 고심하여, 드디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말' 한 문장을 왕에게 올렸습니다.

과연 그 말은 무엇이었겠습니까?
말은 '세상에 공짜는 없다'라는 말이었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말이 가장 지혜롭다고 생각하겠습니까?
찬찬히 생각해 보면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말이 평범하기 그지없이 쉬운 말이지만, 참으로 진리 중의 진리란 생각이 들 것입니다.

우리 사람들이 살아가는 곳은 세상입니다. 이런 세상에서 어느 것 하나라도 공짜란 없으며, 자신이 얼마나 어떻게 노력하고 애쓰고 댓가를 치루었는가에 따라 그 삶의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옛말에도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라고 하였습니까? 최선을 다하여 노력하고 그 결과를 하늘에 조용히 기다리는 삶이 바로 ‘공짜가 없다’는 말일 것입니다.

우리도 이런 지혜로운 말처럼 모든 삶에서 ‘공짜가 없으니 최선을 다하여 그 결과를 겸손하게 기다리는 삶을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살아가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처럼 다녀 온 고향풍경  (0) 2010.09.26
이 또한 지나간다  (0) 2010.08.25
제마음대로 체조하는 손자  (0) 2010.07.15
월드컵응원은 이렇게  (0) 2010.06.17
대그리스전 응원에 신난 우리 손자  (0) 2010.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