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0만 `워낭소리` 수익만 21억원…주인공 개런티도 2억원 넘을듯
|
|
독립영화 '워낭소리'는 콘텐츠의 힘에다 수익성까지 갖춘 이상적 작품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최근 전국 관객 수 70만명 돌파로 순수익만 21억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16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가입률 98%) 집계에 따르면 이날까지 '워낭소리'의 매출액은 누적 70만 관객 기준으로 47억1312만6013원이다. 한국 영화의 통상적인 부율(극장과 배급사의 수익 배분 비율)인 5대5를 적용한다면 제작사와 배급사 몫은 매출의 절반인 23억5000만원 선.
'워낭소리'의 순제작비는 1억원가량이지만 여기에 후반 비용(마케팅ㆍ극장 개봉 비용) 1억원을 합하면 총 제작비는 2억원이다. 순수익을 20억원으로 가정해도 수익률은 1000%에 달한다.
'워낭소리'는 여전히 입소문을 타며 개봉관 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매출과 수익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워낭소리'의 주인공인 최원균 할아버지와 이삼순 할머니의 개런티도 추가될 전망이다.
'워낭소리'의 제작사 스튜디오 느림보의 고영재 PD는 "영화의 주인공인 할아버지에게 고마움의 표시로 수익금의 10%가량을 드릴 생각을 하고 있다"며 "돈으로 사례금을 드리는 것보다는 할아버지가 원하는 물건으로 드리는 게 더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관객 수를 기준으로 해도 2억원이 넘는 금액이 될 전망이다. 연출자 이충렬 감독도 적잖은 보너스를 받을 예정이다. 애초 흥행에 따라 개런티가 올라가는 러닝개런티 계약이 체결돼 있지 않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아무런 추가 수입은 없다.
배급사 인디스토리 관계자는 "제작사 측에서 별도 기준을 세워 이 감독에게도 추가 보너스를 지급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워낭소리'의 수익 효과에는 상영 방식도 한몫한 것으로 알려졌다. 14~15일 기준 98개의 적지 않은 스크린에서 상영됐는데도 후반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은 것은 이 영화가 디지털 방식으로 상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 필름 프린트로 상영되는 영화는 프린트 한 벌당 200만원가량의 인화료가 들지만 '워낭소리'는 350만원가량의 초기 비용(인코딩 비용)에 디지털 프린트 한 벌당 60만원가량이 추가 비용으로 드는 방식이어서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
| |